러시아가 석유 기반시설을 겨냥한 우크라이나의 공습 때문에 산유량을 감축할 처지에 몰렸다고 로이터 통신이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현지시간 16일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따르면 러시아의 대형 송유관 업체인 트란스네프트는 산유업체들이 자사 송유관 체계에 저장할 수 있는 원유량을 제한했습니다. <br /> <br />트란스네프트는 자사 기반시설이 추가로 훼손된다면 받아들이는 원유의 양을 더 줄일 수 있다고 생산업체들에 경고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조치는 우크라이나가 항구와 정유시설 등 석유 생산과 수출에 필요한 인프라를 드론 공습으로 계속 파괴한 데 따른 것입니다. <br /> <br />우크라이나는 올해 8월부터 우스트루가, 프리모르스크 등 석유수출의 거점인 발트해 항구를 폭격했습니다. <br /> <br />거기에다 최소 10곳에 이르는 정유시설도 폭격해 러시아의 원유 정제 역량은 5분의 1 정도 떨어진 것으로 추산됩니다. <br /> <br />트란스네프트가 러시아 내에서 추출하는 원유의 80% 이상을 다루는 만큼 저장량 제한이 미칠 영향이 작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로이터 통신은 원유 추출 작업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우크라이나의 공격 때문에 러시아가 결국 감산할 것이라고 사정을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트란스네프트는 자사를 음해하는 '가짜뉴스'이며 서방이 러시아를 상대로 자행하는 '정보전쟁'이라며 이 같은 보도를 부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우크라이나의 거듭된 드론 공습에 따라 러시아의 산유 역량이 약화하고 있다는 점은 사실로 관측됩니다. <br /> <br />우크라이나는 종전을 위해 러시아의 전쟁 자금줄을 차단한다며 러시아의 석유 기반시설 폭격에 집중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10년 동안 석유와 천연가스 수익이 러시아의 재정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0∼50%에 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서방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중단하도록 하려고 2022년 전쟁 발발 이후 러시아의 에너지 수출을 제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중국과 인도 등 러시아와 전략적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는 국가들이 수입을 크게 늘리면서 제재 효과는 희석됐습니다. <br /> <br />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그런 상황에서 러시아의 석유 기반시설 파괴를 대안으로 삼았습니다. <br /> <br />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주 프리모르스크 항구를 폭격한 뒤 "석유 인프라 파괴가 가장 빨리 작동하는 제재"라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서방 투자은행들은 러시아가 최소한 증산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고 현재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0917135350818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